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체성

(2)
문턱에 선 듯 불안감을 주는 AGI 어느 날 문득, 내가 서 있는 땅이 움직이고 있다는 걸 느꼈다. 조용하지만 거대하게, 천천히 보이지만 실은 맹렬하게. AGI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변화 앞에서 나는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는 낯선 두려움을 느낀다. 챗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그저 신기한 도구쯤으로 여겼다. 뉴스에서 AI가 언급될 때마다 '그런가 보다' 했고, 자율주행차나 주식 시장의 변동 정도로만 이해했다. 그러나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되면서, 이것이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전문가의 영역에서 우리 일상으로 스며들어온 이 힘은 지금까지의 모든 틀을 조용히, 그러나 확실하게 흔들고 있었다. 그리고 이제 AGI 시대가 온다고 한다. 그것도 곧.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해결하는 범용 인공지능. 전문가들은 말한..
온라인 세상의 정체성 인간은 가진 육체적 조건, 능력에 비해 너무 큰 인식체계를 가지고 있다. 요즘 벌어지고 있는 묻지마 폭행과 흉기 난동을 보며 내가 어디에 서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 인간이 다른 생물보다 뭐가 더 나아서 지구를 뒤덮고 있지? 저렇게 묻지마 폭행으로 뭐를 말하고 싶은 거지? 말하는 방법으로 어떻게 저런 무차별적인 폭력을... 유발 하라리는 그의 책 ‘호모 사피엔스’에서 인간의 상상력으로 지혜 인간 호모 사피엔스를 규정하고 있다. 다른 동물보다 열악한 신체조건을 가졌지만 상상력으로 지구를 지배하게 되었다고. ‘나 어제 뒷산에서 소보다 큰 호랑이를 봤어.’를 들었을 때 그것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 그래서 위험을 피할 수 있고, 지식을 전달할 수 있고, 마침내 자연을 탐구하고 신도 만들 수 있는 능력인 상상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