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다

의식화 교육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초로 선거연령이 만 18세로 조정되면서 55만여 명이 투표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0대 유권자가 투표했지만 걱정이 많은 선거였습니다.

 

국가사업에 관제 데모로 이용당하던 때도 있었습니다.

6월 한 달은 호국보훈의 달이라고 리본을 달고 다니기도 했습니다.

조회 후 행진곡(군가)에 맞춰 반별로 줄 맞춰 질서 정연하게 들어갔던 전체주의 의식화 교육을 받기도 했습니다.

물론 그래서 공동체 정신이 남아 있는 면이 있기도 합니다.

 

노동계 대학생이 위장 취업 의식화 교육을 통해 노조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런 의식화 교육은 빨갱이라 공격당하였고

의식화 교육은 빨갱이라는 공식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국가는 더 조직화시키고 전체주의를 강요하면서 말이죠.

 

의식 없이 어떻게 살아가나요?

의식화 교육을 시키던 안 시키던 의식은 다 있습니다.

10대가 처음으로 투표를 했지만 특히 정치 부분에 생각하지 마라 하다가 갑자기 투표권을 주면 되나요?

삶이 정치이고 역사도 모두 정치적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국회의원은 국민의 대표이고 내 지역 내 이득의 대표입니다 당도 이득 단체니까요

그래서 나의 대표성인 내 뜻을 펼칠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좋은 리더를 뽑으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짧은 시간 이 정도 발전됐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리더를 뽑는 것은 좋은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그건 좋은 군주 뽑기입니다.

세종대왕 뽑기 대회가 아닙니다 세종대왕 뽑기는 대통령선거입니다.

국회의원 선거는 지역·단체 비례의 대표, 전문성의 선출입니다 그리고 내 이익을 대표해야 합니다.

 

결론이 어떻게 나던 정치를 가져와야 합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의식화 교육을 해야 합니다.

정치에 대한 내 생각을 강요하는 건 안되지만 누구나 의견을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정치 중립이 아니라 진공상태입니다.

국가에서 강요하는 정치 진공상태를 바꿔야 합니다.

공무직의 참정권도 보장해 주어야 합니다 투표만 한다고 참정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정치 중립이라는 말로 묶은 다음 정치에 무관심하게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정치의 무관심은 안정적인 현재를 원하는 일부의 목소리이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 못됐지 않고 남을 탄압해야지 하거나, 기득권 말고 관심 없는 자, 그 당시 바람을 타는 자는 정치 중립이 아니라 정치 진공입니다.

물리적 중립은 토론할 때 시간으로 제공되는 것입니다.

똑같이 주는 것은 불공평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더 많이 도와줘야 하는 사람한테 더 많이 지급합니다 공평하기 위해서입니다.

중립이란 단어는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모르거나 의견 없음 이겠지요.

해서 투표용지에 의견 없음(무효)이 있어야 하고 따로 통계도 내어야 합니다.

 

완성 없는 민주주의는 끊임없이 투쟁해야 얻어지는 것 같습니다.

 

 

'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 대한민국  (0) 2023.07.17
제법 깊은 공허함  (1) 2023.07.14
고민없는 신경질  (0) 2023.07.12
망각  (0) 2023.07.11
침략  (0) 2023.07.10